용역명* | 용역명(심의시 받은 용역명과 다른 경우 병기) | ||
---|---|---|---|
진행단계* | [추진중/완료] 단계 선택 | ||
계약일자* | ex) 2022-02-02 | 계약액* | 10,000,000원 (2억원 이상 용역 중점관리 대상) |
계약방법* | [수의계약/일반경쟁입찰에 의한 계약] 중선택기재 |
용역기간* | ex) 2022-03-01 ~ 2022-08-31 |
용역수행기관* | 용역수행기관 | 용역수행자* | 용역수행기관의 책임자 |
담당부서* | 주관 부서명 | 과제담당관* | ex) OOOO과장 OOO |
평가전문위원* | ex) OOO 교수 | 담당자* | ex) 지방행정주사 홍길동 |
심의연도* | 학술용역심의위원회의 심의받은 연도선택 |
소관상임위 보고여부 |
행자위 (2022-02-02 보고 or 예정) (보고후일자수정) |
용역실명제* | (용역 심의) : [과장] OOO [팀장] OOO [담당자] OOO / (용역 발주) : [과장] OOO [팀장] OOO [담당자] OOO / (용역 완료) : [과장] OOO [팀장] OOO [담당자] OOO / |
||
용역목적 및 필요성* | [용역의 목적(배경)] [용역의필요성] |
||
주요내용* | 용역의 시행근거 및 주요내용 | ||
용역결과활용* | 용역결과활용 기재 | ||
비공개 대상 여부* | [전체 공개 / 비공개 / 부분공개] 중 선택 기재 | ||
공개시점* | ex) 2024-03-01 | ||
비공개 사유* |
☑ 비공개 대상 : 관련규정을 포함하여 비공개 사유 명시 ∎ 「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」제9조제1항에 따른 비공개 대상 정보에 해당하여 공개할 수 없을 때에는 그 부분을 제외하고 공개하여야 한다. |
||
첨부파일1 (전체파일최대용량500MB) |
ex) 용역 최종 보고서.pdf |
첨부파일1, 2, 3 의 합계용량은 |
|
첨부파일2 (전체파일최대용량500MB) |
ex) 중점용역관리카드(2억원 이상).pdf |
용역명 | 진행단계 | 담당부서 | 심의연도 |
---|---|---|---|
2022년 제주지역 전통시장 매출동향 조사 | 완료 | 소상공인과 | 2022 |
제주특별자치도 사회서비스원 설립 타당성 검토 용역 | 완료 | 복지정책과 | 2019 |
제5기(2023~2026)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| 완료 | 복지정책과 | 2021 |
서귀포지역 공공하수처리시설 민간관리대행 시범사업 타당성조사 용역 | 완료 | 하수도부 | 2022 |
제주관광기념품 육성지원을 위한 중장기 과제발굴 연구용역 | 완료 | 관광정책과 | 2019 |
제주특별자치도 관광교육종합계획수립 연구용역 | 완료 | 관광정책과 | 2020 |
제주특별자치도 귤피산업 종합계획 | 완료 | 감귤진흥과 | 2021 |
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 소장작품 보존관리방침 마련을 위한 전수조사 용역 | 완료 | 문화정책과 | 2021 |
서귀포시 유통업 실태조사 및 상생발전 추진계획 수립용역 | 완료 | 경제일자리과 | 2021 |
제3차 제주특별자치도 기후변화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용역 | 완료 | 환경정책과 | 2020 |
2050 탄소중립을 위한 제주특별자치도 기후변화 대응계획 수립 용역 | 완료 | 환경정책과 | 2020 |
제주형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가이드라인 수립 용역 | 완료 | 환경정책과 | 2022 |
제주형 부동산 가격 안정화 정책 연구 | 완료 | 경제정책과 | 2021 |
제주특별자치도 환경자원총량 유지관리계획 수립 연구 | 완료 | 환경정책과 | 2020 |
서귀포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효과성 분석 및 모니터링 | 완료 | 주민복지과 | 2019 |
한라산 제주조릿대 관리방안 연구 | 완료 | 한라산연구부 | 2019 |
해양레저관광거점사업 해중생태계 현황조사 및 보존 이용계획 수립용역 | 완료 | 해양산업과 | 2020 |
해양레저관광거점사업 운영계획 및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수립 용역 | 완료 | 해양산업과 | 2020 |
아프리카돼지열병 해외 근절사례 조사를 통한 제주형 방역체계 제안 연구용역 | 완료 | 동물방역과 | 2019 |
제주도 천연동굴 보존관리 방안 연구 및 조사 | 완료 | 한라산연구부 | 2019 |